프로그래밍 (82) 썸네일형 리스트형 19.11.25) Java - 연산자 목차 대입연산자 산술연산자 관계연산자 증감연산자 대입연산자 값을 대입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이다. 기호는 '='이다 수학에서는 두 값이 같을 때 사용하지만 프로그래밍에서는 대입할 때 사용한다. 산술연산자 사칙연산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주의 : '/'(나누기) 사용하면 값은 int다. 뒤에 나머지를 지운다. 파이썬과 차이점 관계연산자 피연산자 두개의 관계를 비교해서 True / False을 알려주는 연산자이다. 증감연산자 ++, -- : 1을 더한다. 1을 뺀다는 의미를 가진다. 원래 x = x + 1의 식을 간단하게 표현한 것이다. 중요 ++가 전위(피연산자 전에 위치)하면 피연산자에 1을 더하고 피연산자를 출력한다. ++가 후위(피연산자 후에 위치)하면 피연산자를 출력하고 메.. 19.11.24) Java - 기본자료형 목차 기본자료형과 객체자료형 자바의 기본자료형 형변환 기본자료형 기본자료형과 객체자료형의 차이 기본자료형은 변수에 직접 데이터가 저장된다. 객체자료형은 객체가 변수에 저장되지 않고 객체의 주소를 저장한다. 크기는 4바이트로 고정된다. 배운 점: 파이썬은 기본자료형도 객체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int라도 그 주소가 변수에 저장된다. 데이터의 값이 저장되지 않는다. 자바의 기본자료형 자바 속 기본자료형은 char, int, double, boolean 등이 있다. String이 기본자료형이 아니라 객체라는 점이 새로웠다. 그래서 대문자로 시작하는 건가.. 파이썬과 비슷하면서 원리에서 다른 부분이 있어 차이를 구분하며 배우고 있다. 약간 헷갈린다 주로 사용하는 자료형은 char(2), int(4), doub.. 19.11.23) Javascript - 배열의 메소드 목차 * 배열의 메소드 * switch-case문 배열의 메소드 배열의 메소드를 살펴보자. 메소드를 알고 있으면 상황에 따라 유용하다. 하지만 처음부터 달달 외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분명 필요할 때가 올텐데 그 때 배워도 된다. 한번 살펴보자 concat(), join(), indexOf(), lastIndexOf() * concat() : 배열 합칠 때 사용한다. * join() : 파이썬에선 못 봤던 메소드다. 배열을 문자열로 바꿀 때 사용한다. var a = [1,2,3]; a.join(); a = "1,2,3" // 기본은 배열 그대로 문자열로 만든다. a.join(" "); a = "1 2 3" // 인자에 따라 원소 사이에 인자를 붙여서 문자열로 만든다. * indexOf(), lastI.. 19.11.22) Javascript - 객체 목차 * 객체 * 객체 만드는 법 * this 키워드 객체 객체다. 어려운 자식이다. 이해가 쉽진 않지만 적어본다. 이런 생각이 든다. 객체는 일상 속에서 너무 녹아져 있어서 오히려 이해가 어려운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등잔 밑이 어둡다는 말처럼. 너무 가까우면 오히려 잘 안 보인다. 사설은 그만하고 객체를 이야기하자. 객체는 하나의 물질이다. 생명체는 나름의 속성이 있고 하는 일이 있다. ex) * 사람은 각자 나름의 키와 몸무게가 있고, 밥 먹고, 잠자는 일이 있다. * 자전거은 각자 나름의 크기가 있고, 멈추거나 움직이는 일이 있다. * 도마뱀은 각자 나름의 색깔과 크기가 있고, 잠자거나 사냥하는 일이 있다. (설명이 적절한지 모르겠다.) 여하튼 객체는 하나의 물질이다. 다만 속성과 기능을 가.. 19.11.21) Javascript - 함수 목차 *함수 *함수를 어떻게 잘 만들지? *꿀팁 함수 함수는 고등학교 졸업하고 안보나 싶었는데 컴퓨터에서 만났다.. 끈질긴 자식.. 새삼 느끼지만 이 세상은 수학이 기반인 학문들이 참 많다. 이제는 시험을 보지 않는 수학에 점점 흥미가 생기긴 한다. 피할 수 없다면 즐겨야지. 함수는 수학의 함수와 비슷하다. 매개변수가 있고, 그걸 처리하고 결과값을 리턴한다. 함수 만드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1 function foo (매개변수1) { //code return foo; }; //2 var foo = function (매개변수1) { //code return foo; }; 함수 호출 방법은 간단하다. 함수명에 ()를 붙인다. 이건 웬만한 컴퓨터 언어에는 공통적으로 작동하는 거라 한번 익히면 이득이다... 19.11.20) Javascript - if, while, for 목차 *if문 *while, for문 *while, for문 속 break, continue If문 타 언어와 비슷하다. if(조건) { // code 들어가는 위치 } elseif { } else { }; while, for문 타 언어와 비슷하다. 써본 결과 나는 for문이 while문 보다 편하다. 한 줄로 입력된다. 1.변수 초기화 2.반복할 조건 입력 3.코드 입력 4.변수++ vari = 0; while (조건) { // code i++; }; for(vari = 0; i < n; i++){ // code }; 반복문 속 break, continue break는 반복문을 빠져나가는 명령이다. 이제 그만해! 라는 느낌. 주의할 점은 가장 가까운 반복문 1개를 빠져나간다. 만약, 반복문이 2개였다면.. 19.11.18) Javascript - 자료형, 변수, 연산자 목차 * 자료형 * 변수 * 연산자 자료형 자바스크립트의 자료형은 Number, String, Boolean, Null, undefined, Object로 나눠진다. 그동안 배운 파이썬보다 더 심플한 것 같다. 특히 숫자는 정수, 실수로 나눠지지 않는다. 변수 변수는 일반 변수와 참조 변수로 나눠진다. 일반 변수는 내가 넣은 값이 들어가 있는 변수다. ex) var a = 10; 이면 a라는 변수 안에는(정확히 메모리 안에는) 10이 들어가 있다. 참조 변수는 값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 변수다. 참조라는 말이 어렵지만 쉽게 말하면 주소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객체를 변수에 담을 때 그 변수에는 객체가 들어가지 않고 **객체의 주소가 들어간다.** 왜 이렇게 했을까는 더 공부를 해야겠다. 그래도 추측하자.. 19.11.04) Python - 백준알고리즘1, 2 단계1 입출력과 사칙연산 나온 개념 print 함수 및 이스케이프 활용 map내장함수 이용 * map(함수, iterable자료형)은 iterable 원소를 함수의 인자로 넣어 결과값의 주소를 기억하는 함수다. 연산자 입력값을 구현하는게 어렵더라. ex) a, b = input().split() A, B, C = [int(i) for i in input().split()] -> 입력값 5 8 4 를 정수 5, 8, 4로 나눠주는 코드 단계2 if문 나온 개념 숫자 범위 지정할 때 range 사용 가능. if a in range(90, 101): #90 ~ 100까지 논리연산자 and 와 or and는 둘다 True일 때 True이다. or는 하나라도 True일 때 True이다. 윤년은 4의 배수이며, 1.. 이전 1 ···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