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18)
20.05.09) 철학 - Feminism 4-4 개요 김은주의 페미니즘 의 수업 내용과 내 생각을 정리한 글. 목차 여성의 행복은 남자를 잘 만나는 것? 여성의 행복은 남자를 잘 만나는 것? 보부아르는 다양한 반론에 대해서 생각했다. 어떤 사람들은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왜 이렇게 힘들게 살아가느냐. 페미니스트로 살아가니 사회에서 욕 먹고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 아니냐. 그냥 단순하게 여자로써 잘 꾸미고 좋은 남자 만나서 결혼하면 행복하지 않겠느냐"라고 누군가는 말할 수 있다. 이 때 보부아르는 질문한다. 행복의 기준이 무엇인지. 누군가는 저런 삶이 행복할 수 있겠지만 사람마다 행복의 기준은 다르기 때문에 행복을 규정할 수 없다는 것. 내 생각 마지막 강의였다. 전체 강의에 대한 느낌점을 기록한 글로 대신하려고 한다.
20.05.09) 철학 - Feminism 강의 수강 후 개요 김은주의 페미니즘 강의를 모두 수강한 후 느낀점 내 생각 올해 1월부터 한 주에 1강씩 수강했던 페미니즘 강의를 모두 수강했다. 호기심에 시작했던 강의였고 꾸준히 수강한 뒤 목표를 달성해서 뿌듯하다. 강의 수강한 지금 나는 어떻게 가치관이 변화했을까?에 대한 답을 해보려 한다.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여성의 권리에 대해서 이전보다 예민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됐다. 강사의 말 중 기억남는 말이 있다. "페미니스트로 살면 마냥 행복하진 않다. 남들이 비난을 할수도 있고 사소한 모든 것들이 불편하게 느껴진다"는 말이다. 오랜 시간 당연하게 받아드렸던 요소들이 당연한 것이 아니라는 깨달음은 사람을 크게 변화시킨다. 아직도 과도기이다. 여성의 권리가 남성과 동등해지기 위해선 여러 분야에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
20.04.25) 철학 - Feminism 4-3 개요 김은주의 페미니즘 의 수업 내용과 내 생각을 정리한 글. 목차 타자인 여성의 투쟁은 없는가? 페미니즘에서 구체적인 사례가 나오는 이유 내생각 타자인 여성의 투쟁은 없는가? 보부아르는 여성이 타자로 억압을 받아왔지만 투쟁은 없었다고 말한다. 이 점이 다른 투쟁과 다른 점이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부르주아는 주체로 존재하고 프롤레타리아는 주체에 반하는 타자로 존재했다. 프롤레타리아는 이 타자로써 받는 차별과 억압을 참을 수 없기 때문에 격렬한 투쟁을 벌였다. 이처럼 주체와 타자의 관계는 투쟁이 존재한다. 하지만 오랜 시간 타자로 존재해온 여성이 남성에 대해 투쟁을 한 적이 없다고한다. 오히려 계급 투쟁보다 훨씬 원초적인 갈등임에도 불구하고. 보부아르는 이 점을 지적한다. 페미니즘에서 구체적인 사례가 ..
20.04.24) 철학 - Feminism 4-2 개요 김은주의 페미니즘 의 수업 내용과 내 생각을 정리한 글. 목차 프로이트에 대한 보부아르의 비판 페미니즘의 출발점 내 생각 프로이트에 대한 보부아르의 비판 프로이트는 정신분석학에서 이런 말을 한다. 여성은 남성의 페니스를 선망하는 욕망을 가지고 있다. 일명 페니스 엔비(Pennis envy)가 있다고 한다. 여성은 페니스가 없기 때문에 페니스를 갖기 위해 시기와 질투가 본능적으로 있다는 말. 이 주장에 대해 보부아르는 여성을 본능적으로 규정짓는 것에 대해 비판한다. 페미니즘의 출발점 남녀가 동등한 위치가 아니라 비대칭적인 위치라는 것을 인식하고 교정하려는 노력이 페미니즘의 출발점이라고 한다. 내 생각 여성은 만들어진다는 보부아르의 주장은 강력하다. 정말 그런가 의문이 들 수 있지만 우리의 삶 속에서 ..
20.04.12) 철학 - Feminism 4-1 개요 김은주의 페미니즘 의 수업 내용과 내 생각을 정리한 글. 목차 제2의 성 우리는 하나의 의미 내 생각 제2의 성 시몬 드 보부아르의 책이다. 페미니즘의 대표적인 책이지만 이 책을 다 읽은 사람은 많지 않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이 책의 1부에서는 역사 속에서 어떻게 여성이 타자로 존재했는지와 여성이 타자로 존재하는 것이 많은 여성들이 자라면서도 가치관을 형성하게 된다는 주장을 한다. 2부에서는 이런 가치관 아래서 여성은 어떻게 성장하는 가에 대해서 기록했다. 우리는 하나의 의이 보부아르는 타자가 있기 때문에 집단이 하나로 뭉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람이 본능적으로 서로를 동등하고 같은 집단으로 생각하지 않고 바로 외부의 적(타자)가 있기 때문에 하나가 된다고 말하는 것. 예를 들어, 한일전을 한다고..
20.04.04) 철학 - Feminism 3-4 목차 자유가 없는 사회에서 권력을 탐낸다. 내 생각 자유가 없는 사회에서 권력을 탐낸다. 밀의 주장은 자유론에 기반을 둔다. 여성의 종속이 옳지 않은 이유는 여성의 자유를 빼앗기 때문이다. 또한 개인이 자유로울 때 공동체 모두에게 이익인데, 여성이 종속되면 다양한 재능과 능력이 묻히기 때문에 그 공동체에도 불이익이다. 밀은 개인의 자유가 없는 사회에서 사람들은 남을 통제하기 위한 권력에 탐낸다고 했다.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남을 통제함으로써 자유를 느끼고 싶어한다는 것. 그렇기에 개인에게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그래서 여성에게도 자유가 필요하다 말하는 것. 내 생각 오늘은 페미니즘에 대한 생각보단 페미니즘 강의를 들을 때 스쳐간 생각을 적어본다. 일주일에 1강씩 3달을 ..
20.03.29) 철학 - Feminism 3-3 [참고 강의, 김은주의 페미니즘 : http://m.artnstudy.com/n_lecture/LecDetail.asp?LessonIdx=ejkim001#viewplay](http://m.artnstudy.com /n_lecture/LecDetail.asp?LessonIdx=ejkim001#viewplay) 목차 본성에 대한 밀의 비판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와 밀의 차이 여성이 직접 이야기하게 하자. 내 생각 본성에 대한 밀의 비판 남성이 사회를 이끌어가고 여성이 사회 속에서 종속이 되는 이유는 본성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 과거부터 힘이 쎈 남성은 가정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고 여성은 가정 안에서 가정을 보호한다는 주장. 이러한 주장을 밀은 비판한다. 여성이 사회에서 종속되는 이유를 본성으로만 이야기할 수 ..
20.03.21) 철학 - Feminism 3-2 목차 여성이 자신의 종속에 대해 동의했는가? 여성의 종속은 관습일 뿐이다. 여성이 자신의 종속에 대해 동의했는가? "여성과 남성의 본성이 다르다."는 주장에 밀은 그건 관습에 불가하다고 말한다. 과거 스파르타는 여성도 남성과 함께 군사 훈련을 받았다. 이것처럼 각 사회에 있는 관습에 따라 남성과 여성의 역할이 만들어졌다고 말한다. "무엇보다 여성의 종속에 대해서 여성들이 동의를 했는가?"라고 반문한다. 여성의 종속은 관습일 뿐이다. 밀의 핵심 주장은 "현재 사회가 여성을 종속하는 것을 사회의 관습일 뿐이다."이다. 이것은 인간이 타고난 특성이 아니라 사회에서 오랜 기간에 걸쳐서 만들어졌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영국의 여왕을 보라고 한다. 보통 왕이라면 남자라 생각하지만 영국의 왕은 여자이다. 그런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