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GIt

(2)
20.03.23) Git stash 사용법 참고 : https://gmlwjd9405.github.io/2018/05/18/git-stash.html 목차 Git stash란? 어떻게 사용하는가? Git stash란? stash의 사전적 의미는 숨겨주다라는 의미다. Git에서는 무엇을 숨겨줄까? 잠시 변경된 파일을 숨겨준다. 이런 상황에 사용할 수 있다. 현재 브랜치에서 코드를 작성하고 있을 때 갑자기 다른 브랜치로 가야할 상황이 있다. 이 때 현재 브랜치의 변경 사항을 커밋해야 변경할 수 있다. 그런데 매번 변경사항을 커밋하는 건 불편한 일이다. 이 때 git stash를 통해 변경 사항을 잠시 숨겨주면 된다. 어떻게 사용하는가? stash 가 적용되는 파일은 무엇일까? git tracking 하는 파일들이다. Stage에 올라간 파일 Stag..
20.02.28) Git - 내 local에서 remote branch가 fetch 안될 때 (안 보일때) 분명 push했는데 remote branch가 안보여! 혼자서 Git으로 버전관리할 때가 있다. 그런데 종종 나는 분명히 push했는데 local에서 remote 브랜치가 안 보일 때가 있다. 보통 fetch가 안되는 문제인데, 이 때는 git 설정을 변경해줘야 한다. 들어가기 앞서, fetch란? fetch란 원격저장소의 변경사항을 새로고침해서 로컬저장소에 보여주는 명령이다. 보여주기만 할 뿐 실제 반영된 것은 아니다. merge 명령을 통해 반영을 해야 한다. 우리가 자주 쓰는 git pull 명령은 git fetch + git merge를 합친 명령이다. 해결방법 : git config를 바꾼다. push가 정상적으로 됐다면 사진처럼 origin/step3가 표시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종 ori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