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1 입출력과 사칙연산
나온 개념
print 함수 및 이스케이프 활용
map내장함수 이용
* map(함수, iterable자료형)은 iterable 원소를 함수의 인자로 넣어 결과값의 주소를 기억하는 함수다.
연산자
입력값을 구현하는게 어렵더라. ex) a, b = input().split()
A, B, C = [int(i) for i in input().split()] -> 입력값 5 8 4 를 정수 5, 8, 4로 나눠주는 코드
- 단계2 if문
나온 개념
숫자 범위 지정할 때 range 사용 가능.
if a in range(90, 101): #90 ~ 100까지
논리연산자 and 와 or
- and는 둘다 True일 때 True이다.
- or는 하나라도 True일 때 True이다.
윤년은 4의 배수이며, 100의 배수가 아니거나 400의 배수이다.
시간과 관련한 문제일 때, 분침은 60분이 기준이니까 60을 활용한 코드가 필요하다.
'프로그래밍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11.26) Python - 백준알고리즘 단계3 (0) | 2019.12.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