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 배열의 메소드
- * switch-case문
배열의 메소드
배열의 메소드를 살펴보자. 메소드를 알고 있으면 상황에 따라 유용하다. 하지만 처음부터 달달 외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분명 필요할 때가 올텐데 그 때 배워도 된다. 한번 살펴보자
concat(), join(), indexOf(), lastIndexOf()
- * concat() : 배열 합칠 때 사용한다.
- * join() : 파이썬에선 못 봤던 메소드다. 배열을 문자열로 바꿀 때 사용한다.
var a = [1,2,3]; a.join(); a = "1,2,3" // 기본은 배열 그대로 문자열로 만든다. a.join(" "); a = "1 2 3" // 인자에 따라 원소 사이에 인자를 붙여서 문자열로 만든다.
- * indexOf(), lastIndexOf() : 배열의 원소를 넣으면 인덱스를 출력한다. 없으면 -1이다.
slice(), splice(), split()
무슨 삼형제 같다. S로 시작하는..
- * slice() : 의미대로 배열을 잘라낸다. 다만 배열의 형태가 바뀌지 않는다.
- * splice() : 배열을 진짜로 잘라낸다. 배열의 형태를 바꾸니까 문자열에는 없다.
- * split() : 문자열을 배열로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한다.
switch-case문
자주 사용되는 조건문은 아니다. 하지만 if문이 반복적으로 사용될 때 유용하다고 한다. if문이랑 비슷한 구석이 있다.
문법
var value;
switch(value) {
case 값1:
//value == 값1일 경우 실행할 코드
break;
case 값2:
//value == 값2일 경우 실행할 코드
break;
//...
default:
//위쪽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실행할 코드
}
'프로그래밍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12.09) JS - ES6 속 추가된 문법 (0) | 2019.12.14 |
---|---|
19.11.27) JS - checkio 속 유용한 메소드 (0) | 2019.12.14 |
19.11.22) Javascript - 객체 (0) | 2019.12.13 |
19.11.21) Javascript - 함수 (0) | 2019.12.13 |
19.11.20) Javascript - if, while, for (0) | 2019.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