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20.02.01) 철학 - Feminism 2-1

참고 강의 : 페미니즘 철학 입문 - 김은주

목차

  • 페미니즘 철학의 제 1물결
  • 여권의 옹호 등장 배경
  • 오늘날은?

핵심

  • 페미니즘 철학의 1물결은 양성 평등에 대한 주장이다.

지난 시간 복습

페미니즘 철학은 여성만을 위한 철학이 아니다. 오랜 시간 보편 인간이라 불린 기준에 대한 문제 제기이며, 다양한 타자에 관한 관심이다. 이분법에 대해 비판하는 시각은 포스트 모더니즘과 함께 움직인다.

페미니즘 철학의 제 1물결

페미니즘 철학에서는 패러다임을 물결이라고 표현한다. 페미니즘 철학의 제 1물결은 '여성도 남성처럼 이성을 가지고 있는 똑같은 인간이다. 하지만 남성만 인간의 권리와 의무를 수행하는데, 여성은 왜 수행하지 못하는가?'라는 관점이다. 이 관점은 데카르트의 주장, '모든 인간은 이성을 가지고 있다. 다만 하층민이 비이성처럼 보이는 이유는 방법(교육)을 모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국가와 시민사회가 교육해야 한다.'에 근거한다. 모든 인간은 이성을 가지고 있다. 다만 활용할 방법을 모를 뿐이라는 것.

이처럼 여성도 이성을 가진 인간이다! 라는 주장이 페미니즘 철학의 제 1물결이다. 이 시기엔 여성뿐 아니라 노동자, 흑인 등 다양한 관점에서 '우리도 이성을 가진 인간'이라고 주장하며 참정권 등을 요구했다. 이때 페미니즘 철학의 이론을 정리한 사람이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이다.

여권의 옹호 등장 배경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여권의 옹호라는 책을 통해 '여성도 남성처럼 똑같은 이성을 가지고 있다.' 고 주장했다. 그럼 여권의 옹호라는 책은 어떻게 나오게 됐을까? 당시 프랑스 혁명 이후 모든 사람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공교육이 등장한다. 획기적인 사건이다. 귀족들에게만 허락된 교육이 시민에게도 허락된 것이다. 그런데 교육의 대상에 소녀들은 포함되지 않았다. 모든 사람은 이성이 있다며 혁명을 일으켰는데 왜 교육에서는 소녀가 빠지는가. 이건 잘못됐다는 생각으로 여권의 옹호를 쓰게 된다.

오늘날은?

메리 울스턴크래프트가 여권의 옹호를 주장한 지 200년이 지났다. 그녀의 말대로 이제 교육은 남성, 여성 모두가 받을 수 있게 됐다. 그렇다면 다른 영역은 어떨까? 여성과 남성은 이성을 가진 똑같은 인간으로 같은 권리와 의무를 수행할까? 오늘날 가장 논쟁이 되는 주제이다.

내 관점에서 볼 때 아직도 제 1물결은 진행 중이다. 임금, 고위직 비율 등에서 아직 여성과 남성의 차이가 나타난다. 한 번에 바꿀 수 없다. 그래도 많은 사람이 이 관점이 있다면 사회가 더 좋은 방향으로 갈 것 같다.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2.15) 철학 - Feminism 2-3  (0) 2020.02.22
20.02.08) 철학- Feminism 2-2  (0) 2020.02.08
20.01.19) 철학 - Ubuntu  (0) 2020.01.19
20.01.18) 철학 - Feminism 1-3  (0) 2020.01.18
20.01.11) 철학 - Feminism 1-2  (0) 2020.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