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82) 썸네일형 리스트형 20.02.28) Git - 내 local에서 remote branch가 fetch 안될 때 (안 보일때) 분명 push했는데 remote branch가 안보여! 혼자서 Git으로 버전관리할 때가 있다. 그런데 종종 나는 분명히 push했는데 local에서 remote 브랜치가 안 보일 때가 있다. 보통 fetch가 안되는 문제인데, 이 때는 git 설정을 변경해줘야 한다. 들어가기 앞서, fetch란? fetch란 원격저장소의 변경사항을 새로고침해서 로컬저장소에 보여주는 명령이다. 보여주기만 할 뿐 실제 반영된 것은 아니다. merge 명령을 통해 반영을 해야 한다. 우리가 자주 쓰는 git pull 명령은 git fetch + git merge를 합친 명령이다. 해결방법 : git config를 바꾼다. push가 정상적으로 됐다면 사진처럼 origin/step3가 표시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종 origi.. 20.02.23) Linux - ubuntu 사용법 한글 설정 language support에 들어가서 자동으로 필요한 파일을 다운 받는다. region & language에 들어가서 input sources에 korean(Hangul)을 추가한다. keyboard에 들어가서 switch to next input source에서 한/영 키로 변경한다.tweak 사용 Then open GNOME Tweaks (gnome-tweaks). Select Keyboard & Mouse tab Click Additional Layout Options button Expand Switching to another layout Select Ctrl + Shift here 출처 : https://askubuntu.com/questions/1029588/18-04-ctrl.. 20.02.19) IntelliJ 단축키 및 사용법 기본 단축키 Alt + insert : 파일 생성 Ctrl + Shift + F10 : 파일 실행 Shift + F10 : 이전 파일 실행 Ctrl + Shift + a : 액션 검색 작동중인 프로그램 죽이기 : Ctrl + F2 깃 단축키 Alt + 9 : 깃메뉴 호출 Alt + ` : 깃 오퍼레이션 Ctrl + Alt + a : add Ctrl + k : 커밋 Ctrl + Shift + k : 푸시 깃허브와 연동 : 액션 검색에서 share project on github -> 깃허브 로그인 깃허브에서 클론 : 아무 프로젝트에서 상단 VSC 클릭 -> get from version control -> url 입력 라인 단축키 Ctrl + D : 라인 복사하기 Ctrl + Y : 라인 지우기 Ctrl .. 20.02.10) Java - AWT 목차 AWT하는 목적 이벤트 처리 이벤트의 인자로 람다를 쓰는 이유는? 이벤트와 IO 처리 관련 주의사항 AWT란 객체지향이 GUI를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운영체제의 기능을 가져다 쓰는 것이다. GUI프로그램은 무한루프로 계속 코드가 실행되고 있는 것이다. GUI는 싱글쓰레드로 해야 한다. 멀티쓰레드는 데드락으로 죽을 가능성이 높다. 이벤트 처리 컴포넌트에 이벤트 리스너를 추가해야 한다. 이벤트 리스너가 없어도 이벤트는 발생하고 있다. 운영체제가 수집하고 있다. 운영체제는 이벤트 큐를 이용해 이벤트를 관리한다. 이벤트가 일어나면 리스너에 등록된 콜백 함수를 실행한다. 콜벡함수는 내가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벤트가 실행될 때 필요한 순간에 동작하는 함수이다. 이벤트의 인자로 람다를 쓰는 이유는? 자바.. 20.02.09) Java - Lambda 목차 람다란? 람다식 인자 전달 람다가 필요한 순간은? 람다식의 다양한 표현 함수형 인터페이스와 어노테이션 람다식과 제네릭 람다란? 람다식은 컴파일러가 구별할 수 있는 수준만 남기고 다 생략하는 기법을 말한다. 익명클래스로 간단해진 코드를 더 간단하게 만들어준다. 익명 클래스란 클래스의 정스의 없이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클래스를 말한다. 클래스 생성이 없이 때문에 클래스의 이름이 없다. 그래서 익명이다. 익명 클래스를 생략하면 람다식이 만들어진다는 100% 정답은 아니지만 사용자 관점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람다식 인자 전달 만약 어떤 인터페이스의 참조변수를 람다식으로 생성한다면 그 람다식은 그 인터페이스가 인자인 메서드의 인자로 전달될 수 있다. 무슨 말이냐 한번 살펴보자. public class Lam.. 20.02.06) 자바 주요 학습 키워드 아래 주제에 대해 1) 책 없이 코딩 가능 2) 면접관에게 설명 또는 3) 서술형 답안을 완성할 수 있을 정도로 공부해 보자. 자바의 기본 자료형과 연산자, 단항 연산자 및 이항 연산자의 차이 변수의 스코프 스코프를 이해하기 위해선 memory 구조, JVM의 작동원리, GC의 동작원리, byteCode에 대해 알아야 한다. 자바 고급 개발자는 byteCode를 직접 읽고 쓴다고 한다. 메소드와 스코프 메소드는 객체가 책임을 수행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들은 메세지로 소통하는데, 객체가 수신하는 메세지는 객체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인터페이스와 다르게 외부에 드러나지 않고 객체가 책임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메서드이다. 스코프는 메서드가 수행되는 코드상의 범위를 말한다. 지역.. 20.02.02) Java - Stream Stream 신기술은 어렵다. 배우는 과정은 힘들다. 그냥 익숙한 지식을 쓰고 싶을 뿐이다. 하지만 신기술을 배운다면 무척 유용하다. 시간도 단축되고 무엇보다 "이걸 안 배웠으면 정말 멍청했겠다"라는 반응이 나온다. 지금 Stream은 나에게 신기술이다. java라는 언어 자체가 익숙하지 않지만 Stream을 배워야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배열이나 컬렉션에 데이터를 담고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선 for문이나 Iterator를 사용했지만 Stream을 통해서 간편하게 사용 가능해졌다. 배열을 Stream으로 만들고 Stream의 메서드를 사용한다. 스트림의 필요성 우리가 콜렉션 인스턴스를 만들면 보통 그 안에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ArrayList에 1~10까지 숫자가 있.. 20.01.29) Java - Input&Output 목차 I/O Stream 문자 스트림 핵심 Stream이란 데이터의 이동 통로이다 Stream이란? 스트림을 데이터의 이동 통로이다. close()를 하는 이유는 스트림에 할당된 자원을 반환하는 용도이다. 그리고 입력이나 출력이 끝났는 그 통로를 그대로 둘 필요가 없다. 기본적인 데이터의 입출력 단위는 바이트이고,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하는 스트림을 가리켜 '바이트 스트림'이라 한다. 왜 바이트일까? 생각해보면 컴퓨터의 모든 프로그램은 0과1로 이루어진 이진수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한글로 써있다고 해도 0과1로 바뀐다. 그래서 데이터의 기본 입출력 단위가 숫자인 바이트이다. Stream과 I.O Stream의 차이는? map, reduce를 제공하는 Stream은 배열,.. 이전 1 2 3 4 5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