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

19.11.03) 컴퓨터의 구성요소와 이진법

컴퓨터의 구성요소

Input
컴퓨터에게 일을 시키는 과정이다.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통해 정보를 입력한다.

Storage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이다. Processing한 정보를 다시 저장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출력을 기다린다.

Processing
입력받은 정보를 알고리즘을 통해 처리하는 과정이다.
처리된 정보는 저장소로 이동한다.

Output
입력된 정보들이 출력되는 과정이다.
단순한 예를 들자면, 지금 나는 키보드로 글자를 입력하고 있다. 그 결과가 모니터에서 출력된다.

이진법(Binary)

진법은 숫자를 활용한 기수법이다. 기수법은 숫자를 기록하는 방법이다. 실생활에선 십진법(Decimal)을 사용한다. 이진법은 컴퓨터가 사용한다. 이진법은 무엇일까?

칸아카데미에서 쉽게 설명한다.
아래 링크 있지만 나의 언어로 더 표현해보겠다.

칸아카데미 - 이진수와 데이터

십진법는 각 자릿수를 10의 거듭제곱으로 표현한다. 예시가 이해가 빠를 듯 하다. 10이라는 숫자를 십진법으로 표현하면? 10이다. 왜 10일까? 10 = 1x10 + 0x1 이다. 1의 자리는 10의 0 제곱을 곱한다. 10의 자리는 10의 1제곱을 곱한다. 참 설명이 어렵다.. 이해 되시려나요?

다른 예시를 들어볼게요.
57은 왜 십진법에서 57일까? 57 = 5x10 + 7x1 입니다. 그럼 57을 이진법으로 표현한다면? 1111이다.
57 = 1x32 + 1x16 + 1x8 + 1x1이다. 십진법과 다르게 십의 자리, 백의자리가 아닌 2의자리 4의자리, 8의 자리로 읽어야한다.

결론, 컴퓨터는 이진법을 쓴다.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4.20) JWT  (0) 2020.04.20
20.04.07) tree 설치하는 법  (0) 2020.04.08
20.02.19) IntelliJ 단축키 및 사용법  (0) 2020.02.19